Sol'Ex 리뉴얼 제작

 10 Dec 2024


Sol'Ex 개발자가 제공하는 기본형 또는 공개된 몇몇 3D 프린팅 버전의 제품은 정밀한 튜닝이 어렵다. 
분광기 튜닝이 한 번 맞춰놓으면 크게 변할 일은 없지만, 그 한 번이 너무 어렵다.
그래서 다음 사항들을 조정하기 좋은 방식으로 설계를 변경해보았다.

- 콜리메이터 위치 조정 : 스프링과 볼트로 위치 조절 가능

- 카메라측 렌즈 위치 조정 : 스프링과 볼트로 위치 조절 가능

- 슬릿의 회전각 : 슬릿과 콜리메이터가 들어간 튜브를 세트 스크루로 고정하도록 조정

- 가이더와 슬릿 사이의 거리 : 2mm 범위 내에서 조절 가능하도록 볼트 구멍을 길게 수정

- 가이더의 회전각 : 가이더 바디를 회전시키고 세트 스크루로 고정하도록 조정 (슬릿의 경사 방향이 정해져 있으므로 가이더의 회전 방향을 바꿀 일이 없음. 회전은 고려하지 않도록 정정. 가이더는 광축 상에서의 거리만 맞추면 됨.)





한꺼번에 제작할 비용이 모자라서 조금씩 금속 가공을 맡기고 있다.




21 Dec 2024
금속 가공 가격이 싸서 좋기는 한데... 나사산을 잘못 뚫었네.
조립이 안된다.


제대로 뚫린 볼트 하나로 단단히 고정하고 강제로 탭을 다시 냈다.

이게 또 나중에 문제를 일으킴. 완벽하게 맞지 않으니 슬라이드 구멍도 어긋난다. 그것도 줄로 쓱쓱 갈아냈다. 암튼 우여곡절 끝에 아래 그림처럼 초점 맞추기용 슬라이더가 움직이게 했다.


위 사진은 셸리악 가이더를 연결해 본 것.
내경 1.25인치의 드로튜브와 T2 male 쓰레드를 가진 어댑터면 딱 적당하다. 길이는 27mm면 된다. 고정 나사를 2개 정도 추가하면 될 것 같다. 
셸리악 가이더는 아래와 같은 치수로 제작되어 있다.



가이드 포커스용 렌즈의 초점 길이는 25mm이고, 이것을 분석해보니 가이더 바디의 후면에 슬릿 중심이 오면 딱 맞도록 제작되었다. 
슬릿-사경-렌즈-카메라로 이어지는 부품 간의 거리와 배치는 아래 그림과 같다.
이 시뮬레이션에 그려진 빛다발(파란선)은 경사각 0.45도로, 슬릿 가장자리 ~ 반사경 가장자리 ~ 카메라 가장 자리로 이어진다. 따라서 가이더 카메라에 슬릿 전체의 모습을 볼 수 있도록 한다.


가장 경제적이고 적당히 작은 크기로 만들어졌다. 이 설계를 본따서 가이더를 다시 제작해야겠다. 

그리고 아래는 파장 위치를 쉽게 잡기 위한 회전장치의 눈금판.
테스트 버전.

그리고.... 각 흡수선을 무얼 연구할 수 있는지 표로 정리.



27 Jan 2025

제작 의뢰한 부품이 왔다.
렌즈 고정 및 조정용 튜브다.
SM1 쓰레드라고 비표준 쓰레드 작업으로 요청했는데 정확하게 맞는다.
아래는 콜리메이션 렌즈를 결합한 과정.


렌즈의 양면은 곡률이 약간 다른데, 굽어짐이 심한 면이 평행광이 들어오는 부분이다. 보통 그쪽 면 방향으로 삼각형 표시(▷)가 되어 있다. 굽어짐이 심한 면이 회절격자를 바라보도록 설치하면 된다.





자 조립은 얼추 끝났고... 어렵고 지루한 튜닝 시간.

(1) 카메라 무한대 초점 맞추기.
포커서의 눈금 "2"를 기준점으로 잡고 ±1cm 씩 움직일 수 있도록 카메라 위치를 임시로 고정했다.
이제 무한대 물체를 보면서 정밀하게 초점을 맞춘다. 렌즈 마운트로 대략적인 초점을 잡고 정밀한 초점은 외부 조절장치를 이용한다. 외부 초점 장치는 ±2mm 씩 움직일 수 있는데 가급적 중심에서 무한대 초점이 잡히게 했다.
카메라 회전은 나중에 조정해도 된다.
아래는 결과.




(2) 카메라 튜브를 본체에 결합한다.

(3) 콜리메이터 튜브를 본체에 결합한다. 슬릿 방향이 본체에 수직이 되도록 맞춘다.
0차 상 즉, 슬릿 자체가 카메라에 잡히도록 한다.


카메라에 슬릿이 잡히면 노출을 줄이고 콜리메이터 렌즈 튜브와 외부 조절 장치를 적절히 조정하여 슬릿에 초점을 맞춘다.

(4) 회절격자 틸트 잡기
카메라 튜브와 슬릿 튜브(콜리메이팅 튜브)가 본체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회절격자를 돌려 스펙트럼 띠를 카메라로 잡는다. 단파장에서 장파장으로 이동하면서 스펙트럼 띠가 카메라의 가운데에서 벗어나는지 실펴본다. 스펙트럼 띠 주변의 여백이 대칭으로 남아있어야 한다. 쉽지 않다.
가장 주된 요인은 회절격자가 본체에 대해 기울어져 있기 떄문이다. 
조정은 회전 장치 전체의 경사 > 회절 장치에 달린 회절 격자의 수직성 > 카메라 튜브의 틸트 순으로 우선 순위를 정하여 차례로 조정한다. 
지루하고 오래 걸린다. 쓸만한 수준이 되면 적절히 타협하고 작업을 마쳤다.

(5) 하늘 스펙트럼 보면서 파장별 초점 확인하기
스펙트럼을 보면서 파장별로 초점을 확인해본다. 스펙트럼 선이 선명하게 보이는 초점 위치와 띠의 가장자리(슬릿 끝)가 선명하게 보이는 초점 위치가 같아야 한다. Ca K 선으로 가니 초점 기준 위치 "2"에서 크게 벗어나 "3" 위치에서 초점이 맞는다. 만약 가장자리가 선명하기 않다면 콜리메이터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해 본다.
이와 같이 전 파장에서 가급적 초점 위치 변동이 적은 것이 좋고, 어느 한 파장에서 초점을 맞추면 슬릿 주변부와 스펙트럼 선의 초점이 동시에 맞도록 해야 한다. 

H-alpha
스펙트럼 띠가 오른쪽으로 치우쳐있지만 참을만하다. 선과 가장자리가 동시에 선명하게 보인다.

Na D line

Mg triple line
스펙트럼 띠가 점점 왼쪽으로 치우친다.
가장자리와 흡수선이 동시에 선명하게 보이도록
콜리메이터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했다.

===========================
분광기 다시 만들기 작업 끝!!!




F8에서 F4.6으로 바꾸니 좋군

01 Dec 2024

이틀 연속 시도. 
위치는 광해가 꽤 있는 도시 근교. 보틀6

첫날에는 EM200 적도의 문제(적경축 드라이버로 확인)가 있어서 급하게 하모닉 적도의로 바꿨는데, 이번에는 USB 허브가 작동하지 않았다. 결국 안시 관측고 아포컬 촬영만 했다.
둘쨋날 USB 허브를 수리하고 재출동. 하모닉 적도의에 올리고 사진 촬영 시도. 시상은 아주 좋았으나 수증기가 많고 저지대에 극심한 안개가 있었다. 다행히 관측지에는 03시까지 안개가 올라오지 않았다.

M33
2024-12-01 01:00 KST
8" Newtonian F/4.6 + Custom Harmonic drive mount
IMX571 sensor camera(RisingCam),
L=11*2min(1bin), R/G/B=3/3/3*2min(2bin), Total 40min
Bias, Dark calibration. no flat calibration.
OAG, PHD2, MaxIm DL, Photoshop


가이드는 나쁘지 않았다.







광축이 완전히 맞지 않아 구석 별상이 좀 길다. 코렉터 거리도 좀더 면밀히 살펴봐야겠다.


Ha 연습으로 말머리도 찍어봤는데..,
초점을 신중하게 맞추지 못했더니 엉망이네... 광축 에러까지 겹치니 참담하구만.

Horsehead Nebula
2024-12-01 02:00 KST
8" Newtonian F/4.6 + Custom Harmonic drive mount
IMX571 sensor camera(RisingCam),
Ha=12*5min(1bin) Total 1 hour
Bias, Dark calibration. no flat calibration.
OAG, PHD2, MaxIm DL, Photoshop

일단은 F/8, F/5.6으로 쓰다가 F/4.6으로 바뀌니 정말 밝아서 좋다.
선예도 역시 아주 좋고 필터나 다른 광학 부분과 부조화도 없다.

=================
안시 관측할 때는 코마코렉터의 역할이 크다. 
둘쨋날에는 파라코어에서 옵션을 조금씩 바꿔가며 몇몇 아이피스를 비교해봤다.
대상은 목성과 산개성단, 오리온 대성운으로.
- Pentax XW 40mm aFOV=70 deg : 중심부와 주변부 차이가 약간 있으나 매우 평탄하고 고르다. 파라코어 2형과 조합도 잘 맞고 우려했던 만큼의 강낭콩 효과도 없다. 저배율이라 사출 동공은 당연히 넓어서 블랙아웃 영역이 거의 없고 아이릴리프도 충분하다. 저배율임에도 8인치 FL=930mm에서 트라페지움이 분리되어 보인다.
- ES 40mm aFOV=68 deg : 확실히 무겁다. 시야, 아이릴리프 모두 만족할만하다. 파라코어와 잘 맞으나 수차 교정 면에서는 좀 차이가 있다. 주변과 중심의 초점 차이가 펜탁스보다 미세하게 더 크다. 선예도가 뛰어나고 색수차도 없다.
- Pentax XW 20mm aFOV=70 deg : 시야가 약간 답답하고 어두워 보인다. 안경 사용자에게는 캡이 살짝 거슬린다. 성상과, 평탄성, 선예도, 수차면에서 아주 훌륭하다. 

음.... 8인치 광량이 많이 아쉽다. 12인치나 16인치 반사로 바꾸고 싶은 생각이 든다.

행성 어포컬 핸드폰 영상 처리(아이폰)

2024-11-24 00:16 KST
8" Newtonian F/4 + TMB 5mm + afocal with iPhone13 (3x zoom)
single frame from video file


stacked image (50% of 7805 frames)



맨날 까먹어서 좀 적어놓자.

아래 적은 거 이외의 방법은 없다. 현재로선.
QuickTime, VirtualDub, 온갖 종류의 컨버터, 별짓 다해도 소용없다.


1단계
최신판 다운로드: Autostakkert!4
- Registax를 써도 되지만 무압축(bmp형식)avi 파일로만 입력을 받는다. 그래서 핸드폰 영상은 거의 안된다. PIPP 써서 변환하라지만 아이폰 영상은 안열린다.

2단계
FFmpeg 플러그인 받는다.
- 실행파일을 austostakkert가 들어있는 폴더로 옮긴다.

3단계
autostakkert를 실행하고 ffmpeg 플러그인을 켠다.

---------------
방법

오토스태커트에서 대화창 가운데 <Status> 탭의 FFmpeg을 체크한다.


파일 열기 화면에서 mov 형식을 선택한다.
변환 전에는 해상도가 0x0으로 표시되어 있다.


해당 영상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FFmpeg이 실행된다.
처음에는 콘솔창이 컴컴하지만 당황하지 않고 기다리면 된다.
비압축 avi 파일이 생성되는 중이다.


영상 목록에 avi 파일이 생겨났다.
1080x1920 해상도로 인식되었다. 파일 용량이 크므로 여유공간이 필요하다.


파일이 인식되면 분석 창이 새롭게 생성된다.
나머지 작업은 분석 창, 제어 창에서 순서대로 진행하면 된다.




 
* 특이 사항
칼라 인식이 안되고 흑백으로 처리된다. 
avi 파일이 생성될 때부터 칼라 정보가 사라진다.
RGB 칼라로 작업하라고 옵션을 줘도 안되고 debayer 분리하라고 해도 안된다. 핸드폰 영상에 필터 정보가 없어서일까?

* 이 분야도 토끼굴이네. 너무 깊어.
오토스태커트 가이드 페이지. 나중에 보던가.

* 결론
핸드폰 카메라를 이용한 아포컬 촬영은 한계가 있다. 딱 영상 생성하고 기록 남기는 정도까지만 하고 스택 작업은 하지 말자. 별로 이득이 없다.
→ 행성 스태킹은 행성 전용 카메라로~~~~

28 Nov 2024
아이폰13mini에서 비디오 저장 형식이 HEVC로 되어 있었다. compitable로 옵션을 바꾸면 컬러로 인식될 모르겠다.


Sol'Ex 스캔 속도 정하기

10 Nov 2024

한 며칠 날씨가 계속 맑았는데 이런 저런 시행착오가 있었다.

장비는 아래와 같이 모두 동일.
망원경과 필터: 다카하시 FS60CB (초점길이355mm), 호야ND16필터
카메라: 라이징캠(톱텍) IMX178 센서 카메라
적도의: 자작하모닉, RST135
프로세싱: JSolEx

<10월 31일 촬영>



스캔은 좌상에서 우하 방향이다.
프로그램이 알아서 천구상 북쪽이 위로 가도록 돌려놓았다.
해상도가 너무 후지고.... 스캔한 방향으로 좍좍 늘어난 모양처럼 보인다.
스캔 영상의 로그 파일을 보니 전송속도가 12fps. ㅠ


<적절한 스캔과 비닝 값 계산해보기>
비닝을 하지 않았을 때 망원경-분광기-카메라 조합에서 공간척도가 0.89"/px이다.
태양의 크기가 약 32각분이므로 2150픽셀 정도로 찍힌다.
만약 프레임 전송속도가 110fps이면 2150/110=19.5(초)동안 스캔하면 된다.
적도의 이동 속도가 32각분/19.5초이므로 이 속도는 항성시의 6.5배속에 해당한다.

2x2 비닝을 한다면 해상도가 절반으로 줄기 때문에 전송속도가 늘어난다.
만약 전송속도가 110fps로 변함이 없다면 스캔 속도는 항성시의 13배가 된다.

​이날 카메라 설정이나 USB의 상태가 문제가 있던 것 같다.
USB2.0으로 잡힌 것 같기고 하고...
어쨌든 전송속도가 12fps로 매우 느렸다면 스캔 속도를 늦추던가 비닝을 해서 해상도를 낮추던가 했어야했다.

​다음 사항들을 종합적으로 점검해서 적정 속도로 스캔하거나 비닝하는 것이 좋습니다.
- 망원경 초점길이
- 카메라 픽셀 크기
- 비닝
- 전송 속도(샤프캡에서 좌하단에 확인)
- 스캔 속도(적도의 설정)

간단한 계산기를 만들었다.


프레임 전송 속도가 100fps라면 프레임당 최대 노출은 10ms(밀리초)가 된다.
노출시간은 그보다 짧게 잡아주시면 되고, 그 다음에 게인 값으로 밝기를 조절한다.
흑점 주변 플레어가 생각보다 밝아서 다음에는 게인 값을 조금 더 낮춰보려고 한다.

<11월 10일>
오늘 다시 시도.

매번 적도의 속도값을 바꾸는 것이 귀찮아서 일단 항성시 10배로 세팅하고 비닝만 다르게 했다. USB 속도를 최대로 올리고 캡쳐선택영역(ROI)을 좁게 잡아주었더니 전송속도가 194fps를 찍는다. 따라서 스캔 속도는 적정 속도를 초과하지 않는다.


계산상으로 노비닝 세팅일 때 오버샘플링, 2x2 비닝일 때 적정샘플링으로 나오긴 하지만 결과를 놓고 보면 비닝을 안하는 게 낫다는 생각이 든다.


아래는 2x2 비닝한 세팅에서 Ca II(프라운호퍼 K), He I(프라운호퍼 D3) 사진
.





아직 갈 길이 멀다. 시상, 초점과 싸우는 일도 그렇고.

카메라가 문제인지 노트북이 문제인지 고속 전송에서 자꾸만 먹통이 된다. 으읔.




토성, 목성 자전에 관한 분광 분석




01 Oct 2024

고분산의 분광기(Sol'Ex)에 가이드 모듈을 추가하고
목성과 토성의 분광 촬영을 했다.

가이드 모듈은 요렇게.
파란 카메라는 분광 촬영하는 카메라고, 접안렌즈 꽂은 데가 가이더다. 촬영할 때는 접안렌즈 대신 가이드 카메라를 넣고 수동 가이드 했다.



아래는 목성 가이드하는 모습.


태양촬영이 아닌 경우 분광 이미지에는 빛이 워낙 약하게 들어와서 가이드 모듈이 없으면 대상 도입 조차 불가능하다. 
(1) 가이더 초점과 분광기 초점은 미리 파포컬로 구성해 놓아야 하는데 조금 안맞은 상태였다.
(2) 목성을 찾아서 가이더에 초점을 맞춘다. 이 초점은 망원경 초점 장치 이용.
(3) 마지막으로 분광기 전체를 회전 시켜서 슬릿을 적도면에 맞춘다. 좀 틀렸네.

분광 센서가 약간 오버샘플링이라서 2x2 비닝을 했고, 노출은 120초.
수동가이드는 뭐 다른 거 없고... 화면 보면서 적도의 컨트롤러로 톡.톡.

촬영 끝나고 증명사진.


목성, 토성의 적도면에 슬릿이 나란하게 맞춰야 하기 때문에 회전장치가 필수다. 전동이면 더 좋지만...

​토성과 목성이 어느 정도 크기로 나와야 하기 때문에 나름 장초점인 8인치 RC에 연결했다.
초점 길이는 1624mm. 교정기는 분광 이미지에 영향(색수차)을 줄 수 있어서 사용하지 않았다.

세팅부터 마무리까지 3시간 정도 걸렸다.


​아래부터는 해석.



* 지구 대기에 의 흡수선은 반듯하게 서있다.

* 행성에서 반사된 (태양)빛은 기울어져 있다. 기울어진 선으로 자전 속도를 구할 수 있다. 단순히 기울기만 갖고 해석하면 안되고 행성의 시직경을 함께 고려해야한다. 

* 흡수선이 좌우로 이동되어 있기도 하다. 좌우로 옮겨진 양으로부터 지구와의 시선속도(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속도)를 구할 수 있다.

* 시선 속도 실제 값은 아래와 같이 예측해서 비교했다. (JPL 사이트에서 캡쳐 후 작도)




분광기로 태양 2D스캔 첫시도

31 Aug 2024

- FS60CB (플래트너, 리듀서, 익스텐더 없음) + Hoya ND16
- 자작 SolEx 분광기
- 자작 미니 하모닉 적도의 + TeenAstro컨트롤러
- Touptek IMX178 센서
- Sharpcap, JSolEx






도플러 이미지는 적절한 파장 변이 값을 픽셀로 지정해주면된다.
JSolEx가 편리하기는 한데, 뭔가 내막을 잘 모르고 결과만 받아보는 느낌이라.. 다음에는 INTI로 처리해봐야겠다.

어쨌든 '이게 되네'하는 걸 깨달음.

촬영 세팅

아래는 스캔 장면의 일부로 Hα 부근이다.
이미지 스케일은 0.055Å/px 정도로, 흡수선에 나타나는 도플러 이동은 ±1Å에 이른다. 


아래 사진처럼 훨씬 더 크게 나타나는 곳도 있다.
2~3Å까지 빠르게 움직인다.


아래는 CaK 흡수선 부근. 칼슘 선은 무척 넓고 강하다.
초점이 좀 안맞았네....
칼슘 흡수선 채널에서 일부 지역(흑점 위치)에서 방출선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