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9
목표
(1) 항성 스펙트럼을 얻을 수 있어야 한다. 교육용 수준의 자료를 얻자.
(2) 값싼 부품과 쉬운 기술만 사용하여 진입 장벽을 낮추자.
부품
투과형 회절 필름. PET 소재. 100 라인/mm
카메라와 망원경. T링 등 몇 가지 연결용 부품
설계
망원경에 바로 연결하는 직초점 방식.
0차상(별상)과 1차상(분산)이 함께 찍히므로 교육 자료로 활용하기 편하다.
회절 필름과 센서 사이의 거리에 따라 확대율이 달라진다. (파장 분해능은 동일)
회절 필름에 경사를 주면 좋겠지만 쉽게 제작하는 것이 목표이므로 생략.
▽ 회절 필름과 센서 사이의 거리가 33mm 일 때
제작
카메라와 연결 부품 사이에 넣었다. 양면 테이프로 고정했고, 분산되는 방향의 조절(회전)은 T링에서 하면 된다. M42 튜브를 포함하면 회절 필름에서 센서까지의 거리는 63 mm, 제외하면 33 mm가 된다.
테스트
(1) 날씨가 계속 흐려서... 멀리 있는 불빛(타워 크레인)으로 테스트.
근적외선에서 대기 흡수선(아마도 A선 B선?)이 보인다.
못쓰는 이유는 이렇다. 아래는 베가를 촬영한 것.
테스트2
아래 사진은 며칠 전에 했던 테스트로, 회절 격자 1000라인으로 세팅하고 촬영한 결과다.
에라~ 이건 못쓰겠다.
아래는 알비레오.
회절 격자의 분산이 너무 커서 별상과 스펙트럼 사이의 거리가 멀고, 스펙트럼도 길~다.
* 0차 분산(왼쪽의 별상)과 1차 분산(오른쪽의 분산)의 초점 위치가 너무 다르다. 0차에 초점을 맞추면 1차가 엉망이고, 반대도 마찬가지.
* 1차 분산 내에서도 파장에 따라 초점이 크게 다르다. 특정 파장에 초점을 맞추면 다른 파장에서는 초점이 맞지 않는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