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 집 남쪽 하늘

04 Aug 2019

고향 동네에서 남쪽 하늘이 어느 정도 보이는지 확인해 보았다.


왼쪽 어래산과 오른쪽 604m 높이의 산 사이에 있는 골짜기(비득재)가 거의 남쪽이다. 사진에는 골짜기 너머의 산(하설산 자락 능선)이 함께 찍혔다. 그 너머에는 용하수(3.9km), 대미산 자락 꼭두바위봉(9km), 갈평리(12km), 문경읍(22km), 문경시(35km)가 있다.
수증기와 구름이 많은 여름 밤이라서 맨눈으로 은하수가 겨우 보일 정도였지만 핸드폰 사진에는 딱 눈에 보이는 만큼 기록이 되었다. 은하수 중심이 살짝 보이고 몇몇 산개 성단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고도는 약 342m.





남쪽 대상의 적위 한계와 노출 가능 시간은 어느 정도일까?


사진 촬영과 같은 시각의 스텔라리움 캡쳐를 포개었다. 고도 30도가 안되는 부분이라 대기 굴절에 의해 떠보이는 현상이 심했다. 고도가 낮을수록 그런 상황은 더욱 심해서 스텔라라움 화면은 변형을 하지 않고 실제 하늘 사진을 부분 부분 변형시켜 좌표에 최대한 맞추어 보았다

어래산 정상부의 고도는 약 17˚, 남서쪽의 산 정상은 고도가 14˚ 정도이다.
어래산은 정남에서 동쪽으로 약 30˚, 다른 산은 서쪽으로 약 20˚ 떨어져 있다.

남천에서는 M7 산개성단, 고양이 발톱 성운까지 사진에 담을 수 있다. 적위 약 -35˚의 천체로 남중하기 전후로 1.5시간 정도만 노출이 가능하다. 하룻밤 촬영이라면 최대 3시간이 한계다. 계절과 월령이 잘 맞아 떨어질 경우에만 그렇고 날짜가 좀 어긋나면 여러 날 촬영해야 볼만한 사진을 얻을 수 있겠다.
적위가 더 높은 천체들은 더 여유가 있지만, 그렇다고 해도 약 3시간 조금 넘는 시간 동안 빛을 모을 수 있다.

도전해 보고 싶은 대상인 Sh2-29는 적위가 -24˚ 근처로, 석호성운과 삼열성운 근처에 있다. 고도 20˚ 이상으로 올라와 있는 시간이 약 5시간으로, 하룻밤 촬영도 어느 정도 가능하다.

오리온 자리 M42, IC434

03 Jan 2019

홍천 공작고개
평일 밤이라 아무도 없었다.

M42,
Apotelyt180(f/3.4), FujifilmX-T1, LosmandyG11, QHY5LII, PHD2
33sub*2min : total 1h 6min

=====
플랫, 다크 추가
2분*33장, 30초*40장 촬영한 영상으로 재처리
포토샵에서 채널별 커브 조정을 하니 암흑 성운이 더 잘 보인다.
좌하단의 빗살 모양은 카메라 내부에서 빛이 새는 것으로 추정....

라이카 ApoTelyt180/3.4 문제
풀개방에서 중심부 성상이 납작하게 나온다. 다른 사람의 결과물도 비슷한 것이 많다.


내가 가진 렌즈가 조금 더 심한 편이다.


NGC 2245 주변

03 Jan 2019

NGC 2245, 2247, IC 2169, 2167 / Monoceros
2019-01-03-23:20 ~ 04-04:20 KST, Hongchun
AT65EDQ, Atik460EX, LosmandyG11, QHY5LII, PHD2, -20˚C
L 12sub*10min (1x1), RGB 7,7,8sub*10min (1x1) : total 5h40m
no bias, dark, flat
PixInsight, PS





2019.01.23
심심해서 재처리


M81 그룹, 재도전

01 Jan 2019

몇 가지를 보완해서 재시도 해보았다.
그러나 역시 문제점 투성이..

* 파인더 대용 줌렌즈 => 만족스럽다. 성상에 코마가 훨씬 적어서 거슬리지 않는다.
레이저 포인터 쓰는 것보다 나은 것 같다. 다른 관측자 눈치볼 일 없게.
방향 조절도 좀 더 쉽다. 그렇지만 상하 조절 부분은 나사를 풀고 움직여야 해서 보완이 필요하다. 줌렌즈에서 와이드랑 텔레 시야에서 중심이 완전히 맞지는 않는다.
히팅 밴드가 필요하기는 한데, 어떻게 설치해야할지 마땅하지 않다.

* 극축 정렬 => 샤프캡 프로 라이센스가 있어야할 것 같다. 일단 2.8 버전으로 다운그레이드 했는데 테스트가 필요하다. 이번에도 적경축 회전시 별이 돌아가는 모양을 보고 호(arc)의 중심을 대략 찜 해놓은 다음 그 위치로 화면상의 동심원을 옮겼다(Alt/Azi 조정).
QHY5LII는 센서가 작아서 초점거리가 더 짧아도 될 것 같다. 15개의 별을 검출해서 분석을한다고 하니 시야가 너무 좁지 않아야 한다. 초점길이 100mm이면 시야가 2.7x2.0 deg이므로 적당하다.

* 굴절 망원경 => 중간 렌즈에 흠집 난 것은 이미지에 영향이 없는 것 같다.
노출 시작되고 한 시간 쯤 지나자 냉각으로 인한 초점 변화가 심했다. 뒷부분에 찍은 사진은 완전히 망했다. 초점 변화는 두 시간 넘게 계속 진행되었다. 중간 중간 초점 변화에 대응하는 것이 필요할 듯.
별 상이 약간 비대칭인 것 같기도 하고(아래쪽이 더 부은 듯)

* USB
4구 분배기는 안되겠다. 특히 오토가이드와 이미징은 같은 USB 포트를 쓰면 안될 것 같다. 둘 중에 하나가 멈춘다. 오래 기다리면 둘 다 되긴 되는 것 같다. 그렇지만 오토가이드가 끊어졌다가 다시 연결되는 시간이 길어져서 별이 흐르는 일이 발생한다.
=> 오토가이드는 USB 케이블을 독립적으로 써야겠다.

* 오토가이드
오토가이드에 뭔가 문제(통신 문제?)가 생기면 제미니 콘트롤러에 "Autoguider Error"라는 메시지가 뜬다. 이때 PHD에도 오류 메시지가 떴는데 정해진 시간 동안 반응이 없어서 연결이 끊겼다는 뭐 그런 내용이다. 기다리는 시간을 길게 주면서 문제가 해결되었지만 그 사이에는 가이드가 되지 않는다. USB 쪽에서 트래픽이 생겼기 때문으로 추측.

그 결과물

M81 group
2019.01.01 23:40 ~ 2019.01.02. 03:00
AT65EDQ, Atik460EX, LosmandyG11, ZWO174MM-OAG-PHD
LRGB(1x1 bin) 5sub 10min for each channel : 3h20m total

M42
2019.01.02 03:30~
AT65EDQ, Atik460EX, LosmandyG11, ZWO174MM-OAG-PHD
L(1x1 bin) 4sub 5min, RGB (2x2 bin) 4sub 5min for each channel : 1h20m total


46P/Wirtanen

작심하고 찍어야 해도 될까 말까 한데
시간 내기가 참 쉽지 않다.


위치와 밝기 먼저 확인하기



다음 날 연습 사진. 광해 자욱한 마당에서.
일단 막 찍는다.


12월 15일 밤과 16일 밤이 기대되었는데 미세먼지와 구름으로 포기.

오랫만에 나가려면 연습이 필요하다

29 Dec 2018

TEST and FAIL : M81 group
AT65EDQ Atik460EX LosmandyG11
poor polar align, unable to autoguide
RGB 60sec * 12subs for each channel
오랫만에 나가는 별보기.
집에서 한 시간 남짓 장비들을 결속하고 CCD 테스트를 했다. 어차피 연습이 될 거란 생각으로 M81을 촬영 대상으로 정했다. 집을 나온 시각이 저녁 8시 50분.

연천 백석리. 얼마전에 백동로 포장 공사가 끝나고 LED 가로등이 들어섰다. 정발장군묘 방향으로 더 들어오면 가로등 영향은 줄어들지만 시골 구석구석까지 광해가 깔리는 현실이 안타깝다.

연습 관측치고 안되는 게 너무 많았다.
* 제미니 컨트롤러의 내부 배터리가 소모되어서, 부팅 때마다 위치 정보를 넣어 주어야 했다.
* USB2.0 4구 분배기에서 오류가 발생했다. QHY5를 연결한 상태에서 Atik CCD 카메라가 리딩을 못하거나 연결이 끊어지기 일쑤였다. QHY5에서 USB 할당이 높아서 그런 것 같다. 둘 중의 하나를 죽이면서 번갈아 사용하기는 했는데, 그러다보니 파인더 정렬이 너무 오래 걸렸다.
* 레이저 포인터가 작동하지 않았다. 파인더는 QHY5에 초점길이 100mm 렌즈를 달아서 쓰는데 시야가 가로 세로 약 2도를 조금 넘는다. 적도의 정렬을 할 때, 초기값으로 북극 방향을 잘 맞춘 다음 동쪽의 별 1개로만 정렬하는 습관이 있는데, 이 조합에서는 시야에 안들어 오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번에는 망원경이 향한 방향으로 어림잡아 겨우 프로키온을 시야에 넣고 나서 정렬 작업을 마쳤다. CCTV렌즈는 컴팩트하기는 한데 별 상이 별로다.
* 샤프캡을 업그레이드 했던 것이 패착. 새 버전에서 극축 정렬 기능을 사용하려고 하니 라이센스 필요하단다. 이런. 엣날 버전에서는 공짜로 해주더니만. ;( 그나마 별 위치 찾아서 동심원 그려주는 단계까지는 제공되어서, 별이 동심원을 따라 도는 상태까지 정렬했다. 정렬 오차는 12각분. 아으.
* CCD와 가이드 카메라는 정상 작동. OK
* 오토가이드가 안되었다. 이유는 불명. PHD에서 카메라 루핑은 잘 되는데 캘리브레이션에서 전혀 먹통이다. 적도의 밸런스를 다시 맞추고 해도 똑같다. 6핀 RJ 케이블이 문제인가 싶기도 했는데, 다음 날 테스트 해보니 잘 된다. 이런...
* 사진 아래쪽이 약간 별이 부은 것 같다. 광축 문제인가.

조치해야 할 것
* 제미니 컨트롤러 배터리 교체
* USB3.0 4구 분배기로 교체하고 동시에 여러장비 연결해보기.
  프로그램간  충돌 여부 확인해보기
* 레이저 포인터 + 100mm CCTV 렌즈 조합 포기.
  대안 1 : 탐론 줌렌즈 활용(남에게 피해주지 않고 별상이 또렷)
  대안 2 : 레이저 포인터를 전원 장치로 쓰는 방법(별 상은 나쁨. 정렬 작업 필요)
  => 추가 비용이 없는 대안 1 선택



* 샤프캡 다운그레이드 후 극축정렬 테스트.
  아니면 정품 프로그램 구입
* 오토가이드 다시 테스트. 아마도 제미니 컨트롤러 쪽의 접촉 불량이라는 생각이 든다.
* 망원경 렌즈셀 분해했다가..... 조립 과정에 렌즈에 흠집이 생겼다. 한복판에 커다랗게.... 이게 뭐하는 짓인가.
* PEC 연습

Rosette Nebula(NGC 2237)

12-13 Dec 2017

Rosette Nebula (NGC2237)
12 Dec 2017, Supiryeong Cheolwon
GSO 8" RC + CCDT67 Fujifilm X-T1(astro mod) + Losmandy G11
OAG : ASI174MM / PHD2
Exposure : ISO1600, 24x4min (1h 36m)
Process : PixInsight, PS6
전체 3시간 분량의 사진 중에 자오선 넘김을 하기 전의 것이 더 좋았다. 가이드 오차로 별이 부은 것, 흐른 것은 제외하고 별상이 작고 또렷한 것만 추린 것이 24장. 선예도는 좋지만 노이즈는 어쩔 수가 없다.

아래는 전체 촬영분 중에서 흐른 것만 제외하고 모두 합친 것. 별도 더 부어있고 색감도 날아갔다. 자오선 넘김 후의 사진들은 배경 하늘도 밝아지고 가이드도 오차가 더 컸다. 사진의 좌측은 어둡고 거칠다. 사진의 오른쪽은 성운이 좀더 밝게 나왔다.
Rosette Nebula (NGC2237)
12 Dec 2017, Supiryeong Cheolwon
GSO 8" RC + CCDT67 + Fujifilm X-T1(astro mod) + Losmandy G11
OAG : ASI174MM / PHD2
Exposure : ISO1600, 54x4min (3h 36m)
Process : PixInsight, PS6

문제점 1 : 노이즈


골치아픈 노이즈가 들어와 있다. 위 사진이 가장 심한 프레임인데, 좀 덜한 것들도 있지만 패턴은 다 똑같다. 노이즈 유형은 세가지가 복합되어 있다.
- 왼쪽 아래쪽부터 펼쳐진 보라색 그라데이션. 오른쪽은 괜찮다.
- 동심원 비슷한 빗살 모양의 노이즈. 이건 좀 심하다. 거의 없는 프레임도 꽤 있다.
- 화면 중간의 약간 왼쪽에는 길쭉하게 밝은 부분이 들어있다.

의심가는 부분을 하나씩 점검해 보기로 했다.
(1) 외부에서 빛 들어감? 내부 반사광? no. 완전히 캄캄한 곳에서도 똑같음
(2) 다크 노이즈? 순전히 다크 노이즈라고 하기에는 너무 강하고 치우쳐 있음.
(3) 내부 회로에서 적외선 방출? 예전에 캐논 5D로 찍을 때 액정 화면을 켠 상태에서 한쪽 귀퉁이가 보라색으로 타는 경험이 있었음. 이것일 가능성도 있음.
(4) 온도가 너무 저온이라서? 그럴 수도 있겠지만... 2월에 홍천에서 찍을 때는 이번보다 더 추웠지만 같은 그로 인한 특별한 노이즈는 없었음.
(5) 결로? 결로 없었음. 카메라 전체가 차가와지는 것이므로 내부 결로 아님.
(6) 내부에서 빛 샘? 이것도 가능성이 있음. 필터 개조하면서 스펀지 느낌나는 테이프를 엉성하게 붙여놓은 것이 보이는데 그 부분이 바로 왼쪽 하단임.
(7) 회로 문제? 가능성 있음. 지난 번 태양 촬영 이후 라이브뷰가 이상해진 것을 발견했는데 관련된 결함일지도 모름.

다크 프레임은 이러하다.

일단은 다크 프레임에 문제의 노이즈가 다 들어가 있다. 어떻게 이런 노이즈가 만들어졌는지는 아직도 원인 파악 중...


문제점 2 : 리듀서
CCDT67 리듀서의 적정 거리 확인 작업을 해야하는데 그런 것은 귀찮기도 하고 아내 허락받고 먼 거리까지 갔는데 그런 작업으로 시간을 낭비해서도 안된다. 망원경 광축은 아마 틀어지지 않았을 거라고 믿고, 리듀서 거리는 78mm로 촬영했다.
별상의 비대칭성과 과보정 문제는 여전하다. 긴 노출에서도 마찬가지란 얘기. 기록용으로 사진 추가.




관측 장소
처음 가본 수피령. 연천보다 훨씬 좋다. 집에서 거리는 115km로 더 멀고 시간도 편도 1h50m이 걸리지만.  그 정도면 뭐. 고도는 720m 정도였던 것 같다.


관측이 가능한 곳은 두 군데 정도 있는데, 수피령 남쪽의 주차장을 이용했다. 누군가 제설 작업도 했고 화장실도 있다. 고도가 높아서 그런가 별빛이 또렷하게 잘 보였다.
전깃줄이 북서-남동 방향으로 지나는데 많이 거슬린다. 관측 계획에 따라 설치 위치를 잘 잡아야 할 것 같다.
동쪽 산이 비교적 높아서 40도 정도 가리고 서쪽에는 나무가 서있다. 동서 양쪽이 많이 가려져 있어 대상이 보이면 곧바로 사진 촬영이 시작되도록 준비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북쪽은 비교적 잘 트여 있고 광해도 매우 적다. 남쪽도 비교적 트여 있기는 한데 다목리에서 올라오는 빛 때문에 천구 적도 이하가 꽤 밝았다. 남쪽 하늘은 자정 이후에 비교적 높은 고도에서만 쓸만 할 것 같다.
날씨는 영하 16도~19도. 맑고 매우 건조했다. 새벽 4시에도 서리가 하나도 없었다.
홍천 공작산은 남쪽 하늘이 보기 좋았지만 여기는 북쪽이 괜찮다. 일단 연천은 그만 두고 여기로 다녀야겠다.



안드로메다(M31), 오리오 벨트 부분

25 Nov 2017

전반야를 지나자 구름이 간간이 지나기 시작했고, 새벽 2시부터는 낮은 구름으로 온 하늘이 덮였다.

1.
광해가 적은 서북쪽 낮은 고도의 안드로메다를 겨냥했다.

M31
25~26 Nov 2017, Yeoncheon
AT65EDQ + Quanxtix6303E + Losmandy G11
OAG : SX Lodestar + PHD2
Camera gain=2
Astronomik L=5x5min(1x1bin), RGB=3x5min(2x2bin) for each, total=70min
Calibration and Integration with MaxIm DL
Post process with PixInsight, PS6

광축이 약간 안맞다. 카메라 틸트에 의한 것은 아닌 것 같고, 이 망원경의 단점인 렌즈셀 불안정 때문인 것 같다. 지난 번에 렌즈셀 한번 풀고 재조립한 후에 좀 좋아진 편이지만 온도차에 의해 고정링이 풀리거나 틀어지면 언제 어떻게 광축이 흐트러질지 모른다.


2.
피기백으로 얹어서 같은 방향에 있는 M31을 찍어보았다.

M31
25~26 Nov 2017, Yeoncheon
ApoTelyt180/3.4@4.7(2-stop closed) + Fujifilm X-T1(astro mod) + Losmandy G11
Piggyback (autoguide AT65EDQ + SX Lodestar + PHD2)
ISO 1600, 50x1.5min, total=75min
Calibration and Integration with PixInsight,
Post process with PS6

Center crop, resize ratio=100%


3
같은 방식으로..
남쪽 하늘은 광해가 좀 심한 상태였다.

Orion area under light pollution
25~26 Nov 2017, Yeoncheon
ApoTelyt180/3.4@4.7(2-stop closed) + Fujifilm X-T1(astro mod)
      + Losmandy G11
Piggyback (autoguide AT65EDQ + SX Lodestar + PHD2)
ISO 1600, 15x1.5min, total=22.5min
Calibration and Integration with PixInsight,
Post process with PS6




Center crop, resize ratio=100%


Center crop, resize ratio = 100%


















IC405, IC410 - Photometrics6303E(gain=2)

10 Nov 2017

Quantix 6303E 카메라에서 gain을 2로 설정하고 촬영했다.
gain 1보다 감도가 확실히 높아진다. 처음에는 블루밍을 최대한 피하려고 gain을 1로 했는데 동일한 노출에서 노이즈가 많았다. 기계적 노이즈에 비해 신호가 너무 더디게 올라가는 문제가 있어보인다. 특히 협대역에서 그중에서 OIII 필터에서 찍은 사진의 품질이 너무 나빴다.

gain을 올리고 나니 신호가 높아지고 상대적으로 노이즈가 낮아지기는 했다. 동일한 노출에서 블루밍이 일어난 별의 개수가 늘어났지만 감수해야 할 것 같다. 사용자 설명서에는 gain 2를 "High dynamic range" 모드라고 하는데 그건 잘 모르겠고. 협대역 촬영에서는 신호의 세기를 높이려는 시도가 더 중요해보인다.

촬영 결과는 900초 짜리 Ha이미지 8장으로 지난 번과 거의 동일하다.
IC405 and IC410
10-11 Nov 2017, Yeoncheon
AT65EDQ + Quanxtix6303E + Losmandy G11 / OAG
gain=2, Astronomik Ha 6nm, 8x15min


area crop / 100% size


area crop / 100% size


지난 번 사진과 비교.
upper image : Gain=1
lower image : Gain=2